개발/프로젝트X0

[프로젝트X0-004] Apple 앱스토어, Google 플레이스토어에서 내 앱 노출이 잘 안된다면 이걸 해봐야함(방법 필독)

glennnnn 2024. 2. 19. 17:31
반응형

 

 

대표사진 삭제
 

Apple 앱스토어, Google 플레이스토어에서 내 앱이 잘 검색되게 하는 노하우

 

 

1) 앱을 아무리 많이 만들어도 사람들이 검색해주고 다운 받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을 것이다. 앱 마켓에서 어떻게 내 앱을 잘 포장해서 가게 앞에 내놓을지 고민해보는 시간이다. 물론 이렇게 해도 대외적으로 사람들이 모른다면(== 마케팅을 하지 않으면) 아예 검색조차 하지 않겠지만, 오늘 고민해볼 내용은, 유사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내 앱이 사람들 눈에 잘 보이게끔 해보자의 취지라고 보면 좋겠다.

 

 

 

 

2) 앱 스토어 최적화(ASO)는 앱을 앱 스토어에서 더 잘 보이게 하고, 다운로드 수를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춘 과정이다. 이 과정은 검색 엔진 최적화(SEO)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앱을 찾을 때 당연하게 마켓 검색창에 검색을 할 것이고, 해당 검색 결과에 대해 앱 스토어는 사용자의 선호도와 인기에 기반한 앱을 추천하니까. ASO의 주요 전략으로는 키워드 최적화, 검색 및 유료 광고, 카테고리 순위, 상위 차트 등을 고려해야한다.

 

대표사진 삭제

해몽 검색시에 나오는 결괏값

 

 

3) 앱 이름과 제목은 ASO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앱 스토어나 Google Play 스토어에서 제품 페이지에 표시되는 공식 앱 이름을 뜻한다. 두 스토어 모두 30자 제한이 있으니 간결하게 유지해야한다. 키워드를 포함시키는 방법, 독특한 이름 찾기, 브랜드 이름과 키워드를 조합하는 방법 등을 고려해야 한다.

 

 

 

 

4)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애플 앱 스토어 사이에는 ASO 접근 방식에서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구글 플레이는 앱의 제목, 설명 등 모든 텍스트 요소를 인덱싱할 때 키워드를 고려하지만, 애플 앱 스토어는 특정 키워드 필드를 제공하며, 경쟁사 및 카테고리 이름에서도 키워드를 얻을 수 있다. 구글 플레이에서는 키워드를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이 좋지만, iOS 앱의 경우 키워드를 필드마다 한 번씩만 사용하고 중복을 피하는게 좋다고 한다.

 

 

 

(인덱싱이란 용어가 생소하다면, 빨리 찾기 위한 번호표 매기기라고 생각하면 쉽다. 창고에 수많은 박스가 있는데, 박스 생긴게 다 똑같으니, 박스 앞에 보통 번호표를 붙인다. 그게 바로 인덱싱이다.)

 

 

 

5) ASO는 지속적인 과정이며, 항상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디자인이나 앱 업데이트 빈도 같은 요소들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앱의 메타데이터(앱 이름, 설명, 이미지, 비디오)를 앱 스토어에서는 4주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는 6-8주마다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추천한다. 또한, A/B 테스트를 통해 다양한 요소의 효과를 실험하고, 계절성을 고려하여 앱의 아이콘, 스크린샷, 프로모션을 업데이트하는 것도 유용하다.

 

6) 추가적으로 좋은 ASO 팁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이다. 예를 들어, 앱 이름을 짓는 방법, 서브타이틀과 키워드 필드 사용 방법 , 구글 플레이의 패키지 이름 최적화, iOS에서 키워드 중복 피하기, 간단한 설명과 앱 설명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하다.

 

 

 

7) 또한, 앱 아이콘, 스크린샷, 프로모 비디오의 시각적 디자인이 전환율을 개선하는 데 얼마나 중요앱 스토어 최적화(ASO)란 앱이 앱 스토어에서 더 잘 보이게 하고, 다운로드 수를 늘리기 위해 특정 전략을 적용하는 과정도 중요하다. 사용자들은 보이자마자 끌리는걸 누를테니. 이 과정은 검색 엔진 최적화(SEO)와 비슷하다고 본다. 소재 검색이라고 들어 보았을 수도 있는데, 예컨대 똑같은 바나나를 쳐도, 어떤 사진을 대문에 거냐에 따라 다른 성적표가 나오는 느낌이라 생각하면 쉽다.

 

 

 

8) 앱 이름과 제목 설정은 ASO에서 정말 중요하다. 앱의 공식 이름이니 말이다. . 두 스토어 모두 30자 제한이 있으니, 이름을 짧고 간결하게 유지해야 해. 키워드를 어떻게 포함시킬지, 독특한 이름을 어떻게 찾을지, 브랜드 이름과 키워드를 어떻게 조합할지에 대해 고민해봐야 한다.

그리고 키워드를 적절히 섞어 넣어서 검색 결과에서 더 잘 나타나게 만드는게 좋다. 예를 들어, '캔버스: 디자인 만들기'처럼 브랜드 이름 뒤에 키워드를 추가하는 식으로 어떤 앱인지 한눈에 알려주는게 좋다.

 

 

 

9) 다음으로 앱 설명은 앱을 자세히 설명하는 곳이기도 하고, 블로그 글을 쓸때 사람들을 후킹하는 법칙이 먹히는 곳이다. 여기서는 네 의 주요 기능, 독특한 점, 사용자가 왜 내 앱을 사용해야하는 지 등을 설명해야 한다. 이 부분은 블로그 글쓰기 연습을 자주 하는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같은 꿈 해몽 앱이여도 다음 두 문장중에 어떤 문장에 사람들이 더 끌릴까?

 

 

 

 

  1. 어젯밤 그 꿈이 어떤 의미인지 궁금하신가요? 꿈 해석기를 사용해보세요.
  2. 내가 꾼 꿈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면 큰 화근이 될 수 있습니다. 얼른 꿈 해석기로 확인해보세요.

 

 

 

10) 오늘은 내가 만든 앱이 검색이 잘 안되었던 경험을 비추어 그간 쌓아온 노하우와, 최근엔 ASO를 위해 어떤 고민들을 하고 있는지 살펴본 내용을 정리해봤다. 물론 지금 시점에서 프로젝트X0의 첫번째 앱, 꿈 해석기는 검색이 잘 안되고 있다. 이 앱도 위에서 언급한 4~6주간의 SEO 최적화 기간을 거쳐야 한다.

 

 

 

 

11) 모든 앱들이 만들자 마자 바로 노출되고 사람들이 다운받아 사용할 거란 환상을 가지면 굉장히 빠르게 지치고 흥미를 잃는다. 우리가 만든 앱이 순풍을 타고 항해를 잘 하려면 그 외 부가적인 것들에 대한 이해가 꼭 필

요하다.

 

 

 

 

12) 프로젝트X0 처음 시작할때, "앱 만들기는 일종의 작은 사업/창업" 이라고 언급했던것을 기억하는가? 앱 개발을 한번 긁어 대박나는 로또가 아닌 주기적으로 보살펴줘야 하는 내 small 비지니스라고 생각하자. 그걸 100개를 만들 계획이다.

 

 

 

 

 

 

프로젝트X0를 시작한 이유

https://glennman.co.kr/37

꿈 해몽앱 진짜 돈이 될까?

https://glennman.co.kr/38

외국인한테도 꿈 해몽 앱을 제공하자

https://glennman.co.kr/39

 

 

 

반응형